피조성 썸네일형 리스트형 4장. <철학적 인간학>과 실존철학 현대철학의 조류 중에 실존철학의 한계를 딛고자 실존철학보다 앞서 출현한 삶의 철학(생철학)에 뿌리를 두고서 ‘인간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구하는 이라는 조류가 있다. 은 ‘인간이 무엇이냐?’ 하는 ‘인간의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는 인간으로 하여금 ‘참다운 삶’을 추구하게 하는 근본 동기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로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는 만약에 그게 '인간의 본질', 혹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입각한 것이라면 우리의 “사람됨”을 이루어나가는데 있어서, 그리고 우리의 삶을 형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원리가 되고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에서 도달한 ‘인간의 자기이해’가 어떤 것이고 그것이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와 ‘인간의 참..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