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원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3장. ‘과학의 시녀’ <분석철학> 비판 현대 ‘과학의 시대’를 대변하는 분석철학의 전신前身인 논리실증주의는 ‘철학의 역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우리는 비엔나학파에 속했던 사람들을 논리실증주의자라고 한다. 그런데 이들은 우선 철학에 대해서 깊이 반성한다. 과학은 불과 지난 300여 년 동안에 눈부신 발전을 하면서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는데 철학은 2,500년 동안 답보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철학은 해결될 수 없는 문제에 답하려 하고, 같은 문제에 말을 바꾸어 답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라이헨바흐는 “철학적 답변은 시간이 지나면서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다”면서 “철학의 역사는 오류의 역사”라고 말하고 있다.” (박영식,) 우리는 우선 논리실증주의자들의 철학에 대한 반성, 즉 과학은 불과 몇 백년 .. 더보기 2장. 상대주의가 지배하는 현대철학의 동향 이제 현대철학이 이상의 본질 부정과 실체 부정을 근거로 이래로 가치의 상대성을 어떻게 주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자. 1. 보편적, 절대적 가치의 존재를 부인한 니체 “니체는 하나의 보편적 도덕적 법칙을 내세우거나 절대적인 도덕적 가치를 주장하는 윤리적 입장에 반대한다. 사람이 모두 동일한 필요와 요구를 갖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하나의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도덕적 법칙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은 개인의 차이를 무시하는 일이요, 개인의 생명의 발현을 부정하는 일이 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모든 감성적 유약함에 저항해야 한다. 왜냐하면 삶이란 본래 침해하고 강요하고 착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니체는 ‘착취’가 사악한 것이 아님을 주장한다. 착취는 원시적 사회에 속하는 것이 아니고 살아있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