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념론

부록 1. 서양철학의 관념론과 실재론 정리 필자는 현실문제의 해결을 위해 철학을 해온 사람이기 때문에 학자들이 하는 공리공론을 최대한 배격해 왔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서양철학사에 대한 정리를 마무리하는 부분에서 철학의 오랜 과제인 관념론과 실재론에 대해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왜냐하면 ‘실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입각하여 철학의 쟁점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지난 수천년간 철학자들을 괴롭혀온 관념론과 실재론의 대립을 마침내 정리할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철학에서 ‘실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새삼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세계에는 ‘물질’과 ‘정신’이 존재한다. 더 정확하게는 물질과 생명, 그리고 인간의 정신이 존재한다. 따라서 세계를 물질로만 보거나 정신으로만 보는 것은.. 더보기
제5부. 현대철학의 성과와 한계 1장. 이성주의 및 관념론에 대한 반발로서의 현대철학 ‘현실을 끌고 가는 이성’에 대한 반발과 환멸 현대철학은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인 것이다’라는 헤겔철학의 관념론, 혹은 넓게는 ‘이성주의’에 대한 거대한 반발 혹은 반정립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정신의 변증법 혹은 이성의 체계를 세우고 그것으로써 세계와 역사 전반을 설명하려 하거나 하나의 독단적인 실체를 ‘전제’하고 그것으로 하여금 현실을 좌지우지하게 하는 관념론 혹은 이성주의의 전횡에 대한 환멸의 표현인 것이다. 아울러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래 고전적인 ‘이성’의 의미는 ‘로고스’로서,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이성과 다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고전적인 의미의 ‘이성’, 혹은 ‘로고스’는 인간의 이성에 의해 파악된 세계를 지배하는 법칙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