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질 썸네일형 리스트형 4장. <철학적 인간학>과 실존철학 현대철학의 조류 중에 실존철학의 한계를 딛고자 실존철학보다 앞서 출현한 삶의 철학(생철학)에 뿌리를 두고서 ‘인간에 관한 폭넓은 지식’을 구하는 이라는 조류가 있다. 은 ‘인간이 무엇이냐?’ 하는 ‘인간의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는 인간으로 하여금 ‘참다운 삶’을 추구하게 하는 근본 동기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로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는 만약에 그게 '인간의 본질', 혹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입각한 것이라면 우리의 “사람됨”을 이루어나가는데 있어서, 그리고 우리의 삶을 형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원리가 되고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에서 도달한 ‘인간의 자기이해’가 어떤 것이고 그것이 '인간의 올바른 자기이해'와 ‘인간의 참.. 더보기 2장. 실존철학의 한계 이상의 실존철학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실존철학은 ‘인간의 주체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시대의 화두로 던졌을 뿐, 실제로 ‘인간의 본래적 자아’ 혹은 ‘인간의 자기자신과의 올바른 관계’의 회복에 그다지 기여하지 못했다. 그 원인은 무엇보다도 1,2차 세계대전과 산업사회의 광범위한 인간 소외 등 인간이 행동을 통해 자신의 본질과 실체로서의 실존을 위해 기초가 되는 정신 속 자기의식을 질식시키던 시대상황을 실존철학이 막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자본주의의 성공이 인간 소외를 비롯한 온갖 부작용을 합리화시키고 있는 오늘의 현실과 그런 자본주의에 동조하고 그것의 현실을 뒷받침하려는 현대철학과 지식인들의 전반적인 경향, 그리고 실존철학 자체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에따라 현대자본주.. 더보기 제3부. 서양 현대철학의 상대주의 1장. 현대철학의 실체에 대한 이해수준 독자들이 지금까지 본질과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고대, 근대철학자들의 철학에서 본질과 실체를 둘러싼 논쟁의 맥락을 이해하면서 따라왔다면, 이하에서 전개되는 현대철학은 오히려 쉽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현대철학의 문제들은 대부분 본질과 실체에 대한 취약한 이해에서 비롯된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똑똑한 현대철학자들이 어떤 논리로써 본질과 실체를 부정하고 그 결과 상대주의적 진리관과 상대적 가치관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본질과 실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그들의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볼 것이다. 앞으로 전개될 논의에서 독자들이 본질과 실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현대철학의 현주소를 안다면, 그리고 현대철학의 문제가 대부분 본질과 실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