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현상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3장. 독일관념론 1. 합리론과 경험론의 성과를 종합하여 세계관의 중심을 잡아주고자 한 칸트 칸트는 흄에 이르러 극단적인 회의주의에 도달한 당시 근대철학의 혼란을 바로잡고자 했다. 그것을 위해 칸트는 경험론의 성과를 존중하면서도 동시에 과학적 진리와 필연적 진리의 자리를 확보하면서, 아울러 실천이성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 신의 자리를 보전하고자 하는 웅대한 계획을 시도했다. 칸트는 영혼(자아)과 세계, 신이라는 ‘세 개의 실체’를 통해 탁월한 방식으로 세계를 설명하고, 나아가서 도덕을 설명한다. 그러나 칸트가 자아와 세계, 신이라는 실체를 활용하는 방식은 이전 철학자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대륙의 합리론이나 영국의 경험론은 실체의 존재를 어떻게든 먼저 전제하고서 그것을 출발점으로 하여 세계와 인간에 대해 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