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해명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4부. 실존철학의 성과와 한계 분석 1장. 실존철학의 성과 다행히 현대철학 전체가 상대주의에 빠진 것은 아니었고, 인간의 본질에 관하여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치열하게 물으면서 ‘인간의 본래적 자아’로서의 실존을 추구한 실존철학도 있었다. 실존철학에서 실존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로서 사는 상태', 혹은 '인간이 고유한 주체성과 내면성으로써 사는 상태'를 말한다. 그에따라 '실존'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 혹은 '주체성', '내면성' 등과 혼용된다. ‘실존’, 혹은 ‘인간의 본래적 자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존이 아닌 상태, 혹은 비본래적인 자아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야스퍼스는 그것을 현대의 ‘기계의 시대’에서 기계의 일부분으로, 그리고 ‘대중의 시대’에서 독자적 사고와 가치를 잃은 평균화된 인간으로.. 더보기 이전 1 다음